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백준
- 이진수 변환
- 버퍼
- lv0
- 스택
- 문자열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정렬
- SWEA
- StringTokenizer
- Queue
- COS Pro
- 스프링부트 도커 배포
- lv2
- 삼각형의 완성조건
- 스프링부트 도커로 배포
- 큐
- java
- 프로그래머스
- 백준 N과 M 자바
- index of
- Stack
-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풀이
- Lv1
- 클라이언트
- 프로그래머스 자바
- 오름차순 정렬
- 자바
- Programmers
- 스프링부트 도커
- Today
- Total
목록자바 (54)
mun dev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INga/btrZ7cgbCyu/mAKKmCaIJiwnZu2fFvIHVk/img.png)
문제설명 이진수를 의미하는 두 개의 문자열 bin1과 bin2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두 이진수의 합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return 값은 이진수를 의미하는 문자열입니다. 1 ≤ bin1, bin2의 길이 ≤ 10 bin1과 bin2는 0과 1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bin1과 bin2는 "0"을 제외하고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bin1 bin2 result "10" "11" "101" "1001" "1111" "11000" ✅ 통과한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bin1, String bin2) { String answer=""; int num1= Integer.parseInt(..
1. Integer.toBinaryString() 사용 방법 toBinaryString(int i) 10진수 값을 2진수로 바꾸고 2진수를 10진수로 바꿔주는 함수이다. int num=8; Integer.toBinaryString(num); // 1000 10진수 =>16진수(toHexString) 10진수=> 8진수(toOctalString) 2. Integer.parseInt() 사용 방법 int parseInt(String s, int i) 2진수 값을 10진수로 바꾸어 int로 반환한다. String bin="1000"; Integer.parseInt(bin,2); //8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v8sp/btrZkSbBQqv/m73FiIsu1bQwK2dklFYjh0/img.png)
문제설명 0과 1로 이루어진 어떤 문자열 x에 대한 이진 변환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1. x의 모든 0을 제거합니다. 2. x의 길이를 c라고 하면, x를 "c를 2진법으로 표현한 문자열"로 바꿉니다. 예를 들어, x = "0111010"이라면, x에 이진 변환을 가하면 x = "0111010" -> "1111" -> "100" 이 됩니다. 0과 1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s가 "1"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s에 이진 변환을 가했을 때, 이진 변환의 횟수와 변환 과정에서 제거된 모든 0의 개수를 각각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s의 길이는 1 이상 150,000 이하입니다. s에는 '1'이 최소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ExDq/btrYquB0pwW/rVBB3dDWAnmCHWmt5x4CK1/img.png)
문제설명 피보나치 수는 F(0) = 0, F(1) = 1일 때, 1 이상의 n에 대하여 F(n) = F(n-1) + F(n-2) 가 적용되는 수 입니다. 예를들어 F(2) = F(0) + F(1) = 0 + 1 = 1 F(3) = F(1) + F(2) = 1 + 1 = 2 F(4) = F(2) + F(3) = 1 + 2 = 3 F(5) = F(3) + F(4) = 2 + 3 = 5 와 같이 이어집니다. 2 이상의 n이 입력되었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1234567으로 나눈 나머지를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 제한 사항 n은 2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n return 3 2 5 5 ✅ 통과한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int 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n7mf/btrYjXL8GCt/XdpRKokmKrHkuBXwjeuyUk/img.png)
문제설명 Finn은 요즘 수학공부에 빠져 있습니다. 수학 공부를 하던 Finn은 자연수 n을 연속한 자연수들로 표현 하는 방법이 여러개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예를들어 15는 다음과 같이 4가지로 표현 할 수 있습니다. 1 + 2 + 3 + 4 + 5 = 15 4 + 5 + 6 = 15 7 + 8 = 15 15 = 15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연속된 자연수들로 n을 표현하는 방법의 수를 return하는 solution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n은 10,000 이하의 자연수 입니다. 입출력 예 n result 15 4 ✅ 통과한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 int count=0; for(int i=1; i
String 은 두개의 문자열을 더하기 위해 String st1="a", String st2="b"; 2개의 String 객체를 선언하고 , str1+str2;와 같은 연산을 하게되면 새로운 String을 생성한다. String객체와 String 객체를 더하는 행위는 메모리 할당, 해제를 발생시켜 더하는 연산이 많아지면 성능적으로 좋지 않다. StringBuilder는 String과 문자열을 더할 때 새로운 객체 생성을 하는 것이 아닌, 기존의 데이터에 더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므로 속도가 빠르고 부하가 적다. 따라서 긴 문자열을 더하는 경우, StringBuilder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면 된다. StringBuilder 사용법 StringBuilder sb=new StringBuilder(); sb.app..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PR9T/btrXSvVb5fv/Fy0WZAFFGPOfPFWKP6CYl1/img.png)
문제설명 괄호가 바르게 짝지어졌다는 것은 '(' 문자로 열렸으면 반드시 짝지어서 ')' 문자로 닫혀야 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 또는 "(())()" 는 올바른 괄호입니다. ")()(" 또는 "(()(" 는 올바르지 않은 괄호입니다. '(' 또는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문자열 s가 올바른 괄호이면 true를 return 하고, 올바르지 않은 괄호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 사항 문자열 s의 길이 : 100,000 이하의 자연수 문자열 s는 '(' 또는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s answer "()()" true "(())()" true ")()(" false "(()(" false ✅ 통과한 코..
분류 자료 구조(data_structures), 큐(queue) 문제설명 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섯 가지이다. push X: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 pop: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size: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empty: 큐가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front: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back: 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통과한 코드 im..